레벨 에디터/이벤트
최근 수정 시각: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1. 개요2. 공통 사항3. 측면 설정4. 이벤트
4.1. 게임플레이
5. 참고 문서4.1.1. 속도 설정4.1.2. 소용돌이4.1.3. 체크포인트4.1.4. 히트사운드 설정4.1.5. 사운드 재생4.1.6. 행성 공전 설정4.1.7. 비트 일시정지4.1.8. 자동 플레이 타일4.1.9. 행성 크기 조절
4.2. 길 이벤트4.3. 장식 이벤트4.4. 비주얼 효과4.4.1. 배경 설정4.4.2. 플래시4.4.3. 카메라 이동4.4.4. 필터 설정
4.5. 이벤트 조절4.6. 편의 기능4.7. DLC4.4.4.1. 필터 목록
4.4.5. 고급 필터 설정4.4.6. 거울의 방4.4.7. 화면 흔들기4.4.8. 블룸4.4.9. 화면 바둑판식 배열4.4.10. 화면 스크롤4.4.11. 초당 프레임 설정1. 개요[편집]
불과 얼음의 춤의 레벨 에디터에 존재하는 이벤트들을 정리한 문서. 기준은 2.8.0 버전이다.
2. 공통 사항[편집]
* 각도 오프셋
- 각도 오프셋을 설정한 각도까지 행성이 공전했을 때 이벤트가 실행된다.
* 가감속
- 가감속은 해당 이벤트가 점점 느려지거나 점점 빨라질 수 있도록 속도의 시간에 대한 변화율을 설정한다. 가감속의 움직임은 easings.net을 참고하는 것도 좋다.
가감속 | 움직임 |
Linear | 1차 함수의 그래프이며 가장 기본적인 가감속이다. |
Sine | 사인 함수의 그래프이다. |
Quad | 2차 함수의 그래프이다. |
Cubic | 3차 함수의 그래프이다. |
Quart | 4차 함수의 그래프이다. |
Quint | 5차 함수의 그래프이다. |
Expo | 지수 함수의 그래프이다. |
Circ | 사분원 모양의 그래프이다. |
Elastic | 설정된 위치에서 진자 운동을 하다가 멈춘다. |
Back | 설정된 위치보다 더 많이 간 뒤 서서히 돌아온다. |
Bounce | 설정된 위치에서 튕긴다. |
Flash |
* 이벤트 태그
- 해당 이벤트에 태그를 붙이는 기능. '이벤트 반복'같은 이벤트에 설정한 이벤트 태그를 '태그'에 기입하면 그 이벤트가 작동한다. 특히 장식 관련해서 많이 사용되며, 여러 이벤트에 하나의 태그를 붙여 하나의 그룹처럼 묶을 수 있다.
3. 측면 설정[편집]
3.1. 곡 설정[편집]
이름 | 설명 |
파일 이름 | 곡 파일을 불러올 수 있다. ogg 파일과 wav 파일만 지원하며, mp3 파일을 불러오려 시도할 시 ogg 파일로 인코딩된다. |
BPM | 곡의 BPM을 설정한다. 불러온 곡의 BPM을 정확히 입력해야 싱크가 틀어지지 않는다. 이를 정확히 맞추는 방법은 이 곳 참고. |
음량 | 곡의 음량을 설정한다. 0에서 100까지 조절할 수 있다. |
오프셋 | 레벨의 시작 시간을 조정한다. 설정한 밀리초(ms)만큼 레벨 시작 전 대기하며, 곡과 트랙의 싱크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이 곳 참고. |
피치 | 곡의 피치를 설정한다. 100%가 1배속이며, 수치를 조절함에 따라 곡의 속도가 비례 관계로 달라진다[4]. |
히트사운드 | 곡의 시작 히트사운드를 설정한다. |
히트사운드 음량 | 히트사운드의 음량을 설정한다. 이 설정에 따라 카운트다운 시의 '햇' 히트사운드 음량과 도착 타일을 밟았을 때의 효과음 음량도 조절된다. |
카운트다운 틱 | 레벨이 시작될 때 카운트다운이 나올 시 몇 박자를 셀 지를 정한다. |
3.2. 레벨 설정[편집]
이름[5] | 설명 |
작곡가 * | 작곡가를 입력한다. 만약 7th Beat Games 저작권 확인 사이트에 기재된 작곡가이면 연관 검색어 형식으로 그 작곡가의 활동명이 뜨고, 이를 클릭할 시 자동으로 입력되며 팝업이 뜨고 거기서 그 작곡가의 허가 조건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로 갈 수 있는 버튼이 나온다. 물론 거절한 작곡가일 시 경고문이 뜨고 선택이 되지 않는다. |
작곡가 특별 유형 | 만일 작곡가의 허가 조건을 명시할 필요가 없는 특수한 경우일 시[6] 여기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창작마당에 저작권이 걸린 레벨을 올리면서 이 설정을 악용하는 사례가 생기고 있다. |
작곡가 허락 증명 | 저작권 확인 사이트가 생기기 전에 주로 사용되던 방법으로, 작곡가가 곡의 사용을 허가했다는 내용의 스크린샷을 넣을 수 있다. 작곡가가 저작권 확인 사이트에 기재됐거나 작곡가 특별 유형에서 설정을 할 시 비활성화된다. 여러 작곡가의 합작곡인 경우 각 작곡가의 허가 조건을 저작권 확인 사이트에서 캡쳐하여 한 이미지로 묶고 이 설정을 활용해 허가 조건을 만족했음을 보여줄 수 있다. |
곡명 * | 곡 제목을 입력한다. |
만든이 * | 레벨 제작자를 입력한다. |
포털 이미지 * | Steam 창작마당에서 레벨의 포탈 이미지, 즉 썸네일이 될 이미지를 업로드한다. |
레벨 아이콘 | Steam 창작마당에서 레벨에 해당하는 타일에 들어갈 아이콘을 설정한다. 입력하지 않을 시 빈칸으로 설정된다. |
레벨 아이콘 색상 | 위에서 정한 레벨 아이콘의 색상을 정한다. 해당 색상은 Steam 페이지에서 이 레벨의 포탈 뒷배경의 색상이 된다. 기본값은 #003f52 이다. |
곡 미리듣기 시작 | Steam 창작마당에서 레벨에 해당하는 타일에 안착했을 때 곡의 어디 부분부터 들려줄 것인지 정한다. 단위는 초이며 기본값은 0초이다. |
곡 미리듣기 끝 | Steam 창작마당에서 레벨에 해당하는 타일에 안착했을 때 곡의 어디 부분까지 들려줄 것인지 정한다. 단위는 초이며 기본값은 10초이다. 또한 곡의 미리듣기는 20초까지밖에 적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곡 미리듣기 시작에서 정해놓은 시간에서 20초 이상 차이가 나는 시간까지 설정해놔도 20초까지만 재생된다. |
광과민성 경고 | 광과민성 발작 경고를 표시할 지를 정한다. |
레벨 설명 | Steam 창작마당에서 표시될 레벨의 설명을 입력한다. 입력하지 않을 시 빈칸으로 설정된다. |
레벨 태그[7] | Steam 창작마당에서 레벨에 설정될 태그를 정한다. 인게임에선 보이지 않는다. |
작곡가 링크 | 작곡가의 컨텐츠에 도달할 수 있는 링크를 입력한다. 구분은 ,(쉼표)로 한다. 작곡가 항목에 저작권 확인 사이트에 기재된 작곡가를 입력할 시 자동으로 채워지는 경우도 있다. |
배속 도전 목표 | Steam 창작마당에서 배속 도전을 할 시 목표를 몇 배속으로 할 지를 정한다. 기본값은 0이며 설정해놓은 배속 도전을 창작마당에서 완료했을 시 포탈에 빨간 랜턴이 달린다. |
난이도 | Steam 창작마당에서 표시되는 난이도를 정한다. 1~3은 #8AFFAB 색상으로 표기되고 Steam 페이지의 Difficulty가 Easy로 표기되고, 4~6은 #FFEE6B 색상으로 표기되고 Steam 페이지의 Difficulty가 Medium으로 표기되며, 7~9은 #FF4257 색상으로 표기되고 Steam 페이지의 Difficulty가 Tough로 표기되고, 10은 #FD8AFF 색상으로 표기되고 Steam 페이지의 Difficulty가 Very Tough로 표기된다. |
내보내기 | Steam 창작마당에 레벨을 업로드한다. 이 기능이 활성화되려면 위 설정들 중 * 표시가 되어있는 설정을 모두 채워야 하며, 활성화된 상태에서 내보내기를 누를 시 작곡가, 제목, 만든이, 포털 이미지, 레벨 아이콘, 레벨 설명, 레벨 태그, 튜토리얼 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Steam 이용약관에 동의한다는 항목에 체크를 하고 Steam 창작마당에 세계 게시 버튼을 누르면 창작마당에 레벨이 업로드된다. 또는 그 옆에 있는 업데이트 버튼을 눌러 본인이 이미 업로드했던 레벨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
3.3. 길 설정[편집]
이름 | 설명 |
길 색상 유형 | 길 색상 표시 방법을 정한다.
|
길 색상 | 길의 색상을 설정한다. 첫 번째 색상과 두 번째 색상으로 나뉘며, 길 색상 유형이 싱글, 무지개로 되어있을 시 첫번째 색상만 설정할 수 있다. 기본값은 첫 번째 색상은 debb7bff[8], 두 번째 색상은 #ffffffff 이다. |
색상 애니메이션 간격 | 길 색상 유형이 싱글, 줄무늬가 아닐 시 해당 색상 애니메이션이 재생되는 간격을 설정한다. 단위는 초이며 기본값은 2초이다. |
색상 맥동 유형 | 길 색상 유형이 싱글, 줄무늬가 아닐 시 해당 색상 애니메이션이 재생되는 방향을 설정한다. 종료는 없음, 앞으로, 뒤로 세 가지가 있으며 기본값은 없음이다. |
길 모양 | 길의 모양을 설정한다.
|
길 텍스처 | 길의 텍스처를 따로 설정한다. 이미지 파일을 불러옴으로써 설정할 수 있으며, 길 모양이 일반일 경우에만 활성화되지만 길 모양을 일반으로 한 상태에서 이미지를 설정하고 다른 길 모양으로 바꾸면 그 길 모양에서 텍스처를 적용할 수 있다. |
길 텍스처 확대 | 길의 텍스처를 얼마나 확대할 지 정한다. 기본값은 1이다. |
글로우 강도 | 행성이 길을 밟았을 시 빛나는 강도를 정한다. 단위는 %. 최소값은 0이며 최대값이자 기본값은 100이다. |
길 출현 애니메이션 | 길이 나타나는 기본 애니메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
애니메이션 이전 비트 | 길 출현 애니메이션이 타일을 밟기 몇 비트 전에 실행될 지 정한다. 기본값은 3이다. |
길 퇴장 애니메이션 | 길이 사라지는 기본 애니메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
애니메이션 이후 비트 | 길 퇴장 애니메이션이 타일을 밟기 몇 비트 후에 실행될 지 정한다. 기본값은 4이다. |
3.4. 배경 설정[편집]
이름 | 설명 |
배경 색상 | 배경의 색상을 설정한다. 기본값은 #000000 이다. |
튜토리얼 배경 패턴 표시 | 주로 공식 레벨의 튜토리얼에 등장하는 반복되는 마름모 모양의 패턴을 표시할 지 결정한다. |
튜토리얼 배경 패턴 색상 | 튜토리얼 배경 패턴의 색상을 설정한다. 기본값은 #101121ff 이다. |
튜토리얼 배경 도형 | 주로 공식 레벨의 튜토리얼의 처음 부분에 등장하는 기하학적 도형을 어떻게 표시할 지 결정한다. 기본 색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단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그냥 없앨 수도 있다. |
튜토리얼 배경 도형 색상 | 튜토리얼 배경 도형을 단색으로 표시하였을 때 이의 색상을 설정한다. 기본값은 #ffffffff 이다. |
배경 이미지 | 배경 이미지로 설정할 이미지 파일을 불러올 수 있다. 이미지 파일은 저작권 없는 이미지 사이트[예시2]에서 찾는 것을 추천한다. |
배경 색상 | 불러온 이미지 파일의 색상을 설정한다. 기본값은 #ffffff 이며, 이때는 이미지의 색상이 원본 그대로 표시된다. 즉, 이 값을 변경할 시 그에 따라 이미지의 색상 톤이 바뀐다. |
시차 | 이미지 배경의 시차를 설정한다. x, y값이 따로 되어있으며 기본값은 둘 다 100%이다. 이때는 배경이 화면에 고정되며, 이 값을 내릴 시 카메라 움직임에 따라 배경도 움직인다. 둘 다 0%로 해놓으면 그냥 0번 타일에 고정되어있는 장식을 불러온 듯 한 움직임을 보여준다. |
디스플레이 모드 | 이미지 배경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방식을 선택한다.
|
이미지 스무딩 | 불러온 이미지 파일에 안티 에일리어싱을 적용할 지 정한다. |
회전 잠금 | 이 설정을 킬 시 카메라가 회전해도 이미지 배경은 회전하지 않는다. |
배경 반복 | 이미지 배경의 이미지를 반복할 지 결정한다. |
비율 맞추기 | 이미지 배경의 크기를 설정한다. 기본값은 100%이다. |
3.5. 카메라 설정[편집]
이름 | 설명 |
기준 좌표 | 카메라의 중심점의 기준을 어디에 둘 지 선택한다.
|
위치 | 기준 좌표에서 x, y 좌표값대로 카메라를 이동시킨다. |
회전 | 카메라 회전값을 정한다. 기본값은 0°이다. |
확대 | 카메라 확대값을 정한다. 기본값은 100%이다. |
타일 이동 시 카메라 맥동 | 다음 타일을 밟았을 때 카메라가 박동을 할지 정한다. |
3.6. 기타 설정[편집]
이름 | 설명 |
비디오 배경 | 배경을 mp4 동영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
비디오 반복 | 비디오 배경을 반복할 지 정할 수 있다. |
오프셋 | 비디오 배경의 오프셋을 설정할 수 있다. |
타일 아이콘 윤곽 | 타일 아이콘에 하얀색 윤곽을 넣을 지 정한다. 타일 색이 빨간색, 파란색일 때 속도 설정과 소용돌이가 가려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접착 타일 | 행성이 타일에 맞게 이동할 지 정한다. |
행성 공전 가감속 | 행성이 다른 행성을 돌 때의 가감속을 정한다. 기본값은 Linear이다. |
공전 부분별 가감속 | 행성 공전 가감속이 한 바퀴에 몇 번 실행될 지 정한다. 기본값은 1이다. 예를 들어 이 수치를 2로 설정할 시 행성 공전 가감속이 2번 실행된다. |
부분별 가감속 행동 | 공전 부분별 가감속에서 실행 회수를 정했다면 여기서는 실행 방식을 정한다. 미러와 반복으로 나뉘어있으며, 미러는 첫 번째에 설정한 가감속을 실행했다면 두 번째는 그 반대의 가감속을 실행한다[예시3]. 반복은 그냥 설정한 가감속이 계속 실행된다. |
기본 텍스트 색상 | |
기본 텍스트 그림자 색상 | 기본 텍스트 색상과 같은 역할을 하나 이 설정은 텍스트 그림자에 적용된다. 기본값은 #00000050 이다. |
"축하합니다!" 메시지 | 레벨을 클리어했을 때 나오는 "축하합니다!" 메시지를 변경할 수 있다. 가끔 "완벽한 플레이!" 메시지와 바뀌어 나오는 버그가 있다. |
"완벽한 플레이!" 메시지 | 레벨을 '정확' 판정만 띄우고 클리어했을 때 나오는 "완벽한 플레이!" 메시지를 변경할 수 있다. 가끔 "축하합니다!" 메시지와 바뀌어 나오는 버그가 있다. |
3.7. 장식 설정[편집]
4. 이벤트[편집]
레벨 에디터 인게임 기준 '왼쪽->오른쪽' 순서로 등재함
4.1. 게임플레이[편집]
4.1.1. 속도 설정[편집]
속도 설정 | |
명칭 | 속도 설정 (SetSpeed) |
각도 오프셋 | O[14] |
가감속 | X |
이벤트 태그 | X |
행성의 공전 속도를 조절하는 이벤트로, 현재 타일 BPM보다 빨라지면 빨간색 토끼가, 느려지면 파란색 달팽이가 표시된다.
현재 타일 BPM과 같거나 거의 변경이 없을 때에는 회색 등호(=)가 표시되는데, 이는 플레이 화면에선 보이지 않는다.
현재 타일 BPM과 같거나 거의 변경이 없을 때에는 회색 등호(=)가 표시되는데, 이는 플레이 화면에선 보이지 않는다.
속도 유형 | 'BPM'과 '승수'를 선택할 수 있다. 속도 유형을 'BPM'으로 했을 시 BPM이 활성화되고, '승수'로 했을 시 승수가 활성화된다. |
BPM | BPM 값을 설정한다. 범위는 0.001~10000. |
BPM 승수 | 이전 BPM에 곱해지는 수를 설정한다. 범위는 1E-07[15]~128. |
4.1.2. 소용돌이[편집]
행성의 공전 방향을 변경한다. 각도가 180° 이상일 땐 화살표가 파란색으로 표시되고, 180° 미만일 땐 화살표가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4.1.3. 체크포인트[편집]
클리어를 실패했을 때 마지막으로 밟은 체크포인트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 행성이 닿으면 빛을 내며 플래시 효과가 나온다.
체크포인트를 사용하고 클리어할 시 결과와 클리어 기록에 체크포인트 사용 횟수가 표시되며, 게임 시스템 상 클리어로 인정은 해주나 대부분의 포럼이나 커뮤니티에선 클리어로 인정해주지 않는다.
체크포인트를 사용하고 클리어할 시 결과와 클리어 기록에 체크포인트 사용 횟수가 표시되며, 게임 시스템 상 클리어로 인정은 해주나 대부분의 포럼이나 커뮤니티에선 클리어로 인정해주지 않는다.
리스폰 타일 오프셋 | 체크포인트가 적용되는 위치는 변하지 않으며, 리스폰할 때 설정한 타일 수 만큼 앞에서 리스폰한다. |
4.1.4. 히트사운드 설정[편집]
타일 히트사운드의 종류와 음량을 변경할 수 있다.
게임 사운드 | '히트사운드'와 '미드스핀'을 선택할 수 있다. '히트사운드'는 모든 타일의 히트사운드를 변경하고, '미드스핀'은 미드스핀의 히트사운드만 변경한다. |
히트사운드 | 히트사운드의 종류를 설정한다. |
히트사운드 음량 | 히트사운드의 음량을 설정한다. 범위는 1~100. |
4.1.5. 사운드 재생[편집]
히트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다.
히트사운드 | 히트사운드를 설정한다. |
히트사운드 음량 | 히트사운드의 음량을 설정한다. 범위는 1~100. |
4.1.6. 행성 공전 설정[편집]
행성의 공전 가감속을 설정한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권장되지 않는다.
가감속 | 행성 공전 가감속을 설정한다. |
부분별 가감속 | (설명추가) 범위는 1~20. |
부분별 가감속 행동 | 미러/반복. (설명추가) |
4.1.7. 비트 일시정지[편집]
행성의 공전을 멈추게 한다.
지속 시간 | 정지할 만큼의 비트 수를 설정한다. |
카운트다운 틱 | 설정한 만큼 카운트다운을 한다. '지속 시간'을 0으로 설정하면 카운트다운만 사용할 수 있다. |
각도 정정 | (설명) 범위는 -1~1. |
4.1.8. 자동 플레이 타일[편집]
자동으로 플레이 하게 해주는 이벤트이다.
설정 | '켜짐'으로 할 시 '꺼짐'으로 되어있는 자동 플레이 타일 이벤트가 나오기 전까지 지속된다. |
'자동 플레이 타일' 텍스트 표시 | '켜짐'으로 할 시 자동 플레이 타일이 켜져 있을 때 왼쪽 위 '자동 플레이 타일' 텍스트가 표시되고, '꺼짐'으로 할 시 표시되지 않는다. |
4.1.9. 행성 크기 조절[편집]
행성의 크기를 조절하게 해주는 이벤트이다. 흔히 타일 크기 기믹과 함께 사용된다.
지속 시간 | 설정이 변경되는 기간을 비트 수 단위로 설정한다. |
행성 지정 | '불 행성', '얼음 행성', '바람 행성'[16], '모두' 중에서 이 이벤트에서 설정할 행성을 지정한다. |
크기 | 행성의 크기를 설정한다. 범위는 0~500. |
가감속 | 설정이 변화하는 가감속을 설정한다. |
4.2. 길 이벤트[편집]
4.2.1. 길 색상 설정[편집]
길 색상을 설정한다.
길 색상 유형 | 길 색상 유형을 설정한다.
|
길 색상 | 길 색상을 정한다. |
두 번째 길 색상 | 길의 두 번째 색상을 정한다. '길 색상 유형'이 '싱글' 또는 '무지개'일 시 나타나지 않는다. |
색상 애니메이션 간격 | 색상이 변화하는 주기를 설정한다. '길 색상 유형'이 '싱글' 또는 '줄무늬'일 시 나타나지 않는다. 초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
색상 맥동 유형 | 두 색상이 바뀌는 방향을 정한다. '길 색상 유형'이 '싱글' 또는 '줄무늬'일 시 활성화 되지 않는다. |
길 모양 | 길의 모양을 설정한다.
|
길 텍스쳐 | 길의 텍스쳐를 따로 설정한다. 이미지 파일을 불러옴으로써 설정할 수 있으며, 길 모양이 일반일 경우에만 활성화되지만 길 모양을 일반으로 한 상태에서 이미지를 설정하고 다른 길 모양으로 바꾸면 그 길 모양에서 텍스쳐를 적용할 수 있다. |
글로우 강도 | 행성이 길을 밟았을 시 빛나는 강도를 정한다. 단위는 %. 최솟값은 0이며 최댓값이자 기본값은 100이다. |
타일 아이콘 윤곽 | '켜짐' 으로 설정할 경우 '속도 설정', '소용돌이' 등 게임 플레이 시 표시되는 아이콘의 윤곽선이 나타나며, '꺼짐'으로 설정할 경우 표시되지 않는다. |
이 타일만 변경 | '켜짐 '으로 설정할 시, 이벤트의 설정이 현재 타일에만 적용되도록 한다. |
4.2.2. 길 애니메이션 설정[편집]
길이 출현하거나 사라질 때의 애니메이션을 설정한다.
길 출현 애니메이션 | 길이 나타나는 애니메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
애니메이션 이전 비트 | 길 출현 애니메이션이 타일을 밟기 몇 비트 전에 실행될 지 정한다. 기본값은 3이다. |
길 퇴장 애니메이션 | 길이 사라지는 애니메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
애니메이션 이후 비트 | 길 퇴장 애니메이션이 타일을 밟기 몇 비트 후에 실행될 지 정한다. 기본값은 4이다. |
4.2.3. 길 색상 재설정[편집]
설정한 영역에 있는 타일의 색상을 재설정 한다.
시작 타일 | 이 타일/첫 타일/마지막 타일을 선택해 그 기준으로 설정 영역의 시작 타일을 설정한다. |
끝 타일 | 이 타일/첫 타일/마지막 타일을 선택해 그 기준으로 설정 영역의 끝 타일을 설정한다. |
틈 길이 | 설정이 적용될 타일들 사이에 설정한 길이만큼 틈을 두고 배치한다. |
지속 시간 | 변경된 색상으로 변화하는 기간을 비트 수 단위로 설정한다. 길 모양은 적용되지 않는다. |
길 색상 유형 | 길 색상 유형을 설정한다.
|
길 색상 | 길 색상을 정한다. |
길 모양 | 길의 모양을 설정한다.
|
글로우 강도 | 행성이 길을 밟았을 시 빛나는 강도를 정한다. 단위는 %. 최솟값은 0이며 최댓값이자 기본값은 100이다. |
가감속 | 색상이 변하는 가감속을 설정한다. 길 모양은 적용되지 않는다. |
4.2.4. 길 이동[편집]
설정한 영역에 있는 타일을 이동시킨다. 말이 이동이지 위치, 회전, 크기 등 길 관련 설정은 대부분 포함되어있다.
시작 타일 | 이 타일/첫 타일/마지막 타일을 선택해 그 기준으로 설정 영역의 시작 타일을 설정한다. |
끝 타일 | 이 타일/첫 타일/마지막 타일을 선택해 그 기준으로 설정 영역의 끝 타일을 설정한다. |
틈 길이 | 설정이 적용될 타일들 사이에 설정한 길이만큼 틈을 두고 배치한다. |
지속 시간 | 변경된 설정으로 변화하는 기간을 비트 수 단위로 설정한다. 단, 길 모양은 적용되지 않는다. |
위치 오프셋 | 타일이 이동할 위치를 설정한다. |
회전 오프셋 | 타일이 회전할 각도를 설정한다. |
크기 | 타일의 크기를 설정한다. |
불투명도 | 타일의 불투명도를 설정한다. |
가감속 | 변경된 설정으로 변하는 가감속을 설정한다. 길 모양은 적용되지 않는다. |
4.2.5. 길 위치[편집]
타일과 관련된 여러가지를 설정한다.
위치 오프셋 | 타일이 이동할 위치를 설정한다. |
기준 좌표 | (설명 추가) |
회전 오프셋 | 타일이 회전할 각도를 설정한다. |
크기 | 타일의 크기를 설정한다. |
불투명도 | 타일의 불투명도를 설정한다. |
이 타일만 변경 | '켜짐'으로 설정할 시, 이벤트의 설정이 현재 타일에만 적용되도록 한다. |
에디터 전용 | '켜짐'으로 설정할 시, 이벤트의 설정이 플레이 화면에서는 적용되지 않고, 에디터 화면에서만 나타난다. |
접착 타일 | '꺼짐'으로 설정할 시, 위치 오프셋으로 변경된 타일 위치를 행성이 따라가지 않는다. 주로 겹친 사각형을 만들 때 사용된다.[18] |
4.3. 장식 이벤트[편집]
4.3.1. 장식 이동[편집]
장식과 관련된 여러 동작을 한다.
지속 시간 | 설정이 변화하는 기간을 비트 수 단위로 설정한다. |
태그 | 이벤트에서 사용할 장식의 태그를 설정한다. 띄어쓰기로 구분해서 2개 이상의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19] |
표시 | 켜짐/꺼짐. 장식의 표시 여부를 설정한다. |
기준 좌표 | 장식의 기준이 되는 좌표를 설정한다.
|
이미지 | (설명추가) |
위치 오프셋 | 장식의 위치를 설정한다. |
중심점 오프셋 | (설명추가) |
회전 오프셋 | 장식의 각도를 설정한다. |
크기 | 장식의 크기를 설정한다. |
색상 | 장식의 색상을 설정한다. |
불투명도 | 장식의 불투명도를 설정한다. |
깊이 | (설명추가) 범위는 -32767~32768. |
시차 | (설명추가) |
시차 오프셋 | 시차를 무시하고 위치를 설정한다. |
가감속 | 설정이 변화하는 가감속을 설정한다. |
이벤트 태그 | 이 이벤트의 태그를 정한다. 다른 곳에서 설정한 태그로 이 이벤트를 사용할 수 있다. |
마스크 유형 | (설명추가) |
마스크 깊이 사용 | (설명추가) |
마스크 시작 깊이 | (설명추가) |
마스크 끝 길이 | (설명추가) |
4.3.2. 텍스트 설정[편집]
텍스트와 관련된 여러 동작을 한다.
텍스트 | 텍스트를 변경한다. |
태그 | 이벤트에서 사용할 텍스트의 태그를 설정한다. 띄어쓰기로 구분해서 2개 이상의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참고] |
이벤트 태그 | 이 이벤트의 태그를 정한다. 다른 곳에서 설정한 태그로 이 이벤트를 사용할 수 있다. |
4.3.3. 파티클 방출[편집]
파티클 방출 | |
명칭 | 파티클 방출 (EmitParticle) |
각도 오프셋 | O |
가감속 | X |
이벤트 태그 | O |
태그 | 이벤트에서 사용할 파티클의 태그를 설정한다. 띄어쓰기로 구분해서 2개 이상의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참고] |
개수 | (설명추가) |
이벤트 태그 | 이 이벤트의 태그를 정한다. 다른 곳에서 설정한 태그로 이 이벤트를 사용할 수 있다. |
4.3.4. 파티클 설정[편집]
파티클 설정 | |
명칭 | 파티클 설정 (SetParticle) |
각도 오프셋 | O |
가감속 | O |
이벤트 태그 | O |
지속 시간 | 설정이 변화하는 기간을 비트 수 단위로 설정한다. |
태그 | 이벤트에서 사용할 파티클의 태그를 설정한다. 띄어쓰기로 구분해서 2개 이상의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참고] |
모드 | 시작/중지/중지하고 초기화. (설명추가) |
이벤트 테그 | 이 이벤트의 태그를 정한다. 다른 곳에서 설정한 태그로 이 이벤트를 사용할 수 있다. |
파티클 수명 | (설명추가) |
방출량 | (설명추가) |
시뮬레이션 속도 | (설명추가) |
회전 잠금 | (설명추가) |
크기 잠금 | (설명추가) |
4.3.5. 오브젝트 설정[편집]
지속 시간 | 설정이 변화하는 기간을 비트 수 단위로 설정한다. |
태그 | 이벤트에서 사용할 파티클의 태그를 설정한다. 띄어쓰기로 구분해서 2개 이상의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참고] |
(설명추가)
4.3.6. 기본 문구 설정[편집]
기본 텍스트 색상 | 카운트다운, 레벨 제목, 결과 메시지 등 기본 텍스트의 색상을 변경한다. |
기본 텍스트 그림자 색상 | 카운트다운, 레벨 제목, 결과 메시지 등 기본 텍스트의 그림자 색상을 변경한다. |
레벨 이름 위치 | 레벨 플레이 시 상단에 표시되는 작곡가 - 제목 메시지의 위치를 변경한다. |
레벨 이름 문구 | 레벨 플레이 시 상단에 표시되는 작곡가 - 제목 메시지의 내용을 변경한다. 가감속이 적용되지 않는다. |
"축하합니다!" 메시지 | 레벨 클리어 시 중앙에 표시되는 문구를 설정한다. |
"완벽한 플레이!" 메시지 | 레벨 완벽한 플레이 시 중앙에 표시되는 문구를 설정한다. |
4.4. 비주얼 효과[편집]
4.4.1. 배경 설정[편집]
색상 | |
이미지 | |
이미지 색상 | |
시차 | |
디스플레이 모드 | |
이미지 스무딩 | 켜짐/꺼짐 |
회전 잠금 | 켜짐/꺼짐 |
배경 반복 | 켜짐/꺼짐 |
비율 맞추기 |
4.4.2. 플래시[편집]
4.4.3. 카메라 이동[편집]
지속 시간 | |
기준 좌표 | 카메라의 중심점의 기준을 어디에 둘 지 선택한다.
|
위치 | 기준 좌표에서 x, y 좌표값대로 카메라를 이동시킨다. |
회전 | 카메라 회전값을 정한다. 기본값은 0°이다. |
확대 | 카메라 확대값을 정한다. 기본값은 100%이다. |
4.4.4. 필터 설정[편집]
4.4.4.1. 필터 목록 [편집]
이름 | 효과 |
흑백 | |
세피아 | |
색상 반전 | |
비디오 | |
80년대 TV | |
50년대 TV | |
아케이드 | |
LED | |
비 | |
눈폭풍 | |
픽셀 눈 | |
압축 | |
글리치 | |
픽셀화 | |
물결 | |
잡음 | |
필름 그레인 | |
모션 블러 | |
어안 렌즈 | |
색수차 | |
드로잉 | |
네온 | |
8비트 휴대기기 | |
야시경 | |
펑크 | |
터널 | |
이상한 3D | |
흐림 | |
흐림 (강조) | |
가우시안 블러 | |
육각형 타일 | |
포스터화 | |
선명화 | |
대비 | |
검은색 강조 | |
유화 | |
점묘화 | |
빗방울 | |
수면 | |
흩날리는 꽃잎 | |
흩날리는 꽃잎 (즉시) |
4.4.5. 고급 필터 설정[편집]
필터 | 필터를 선택한다. 종류는 아래 문단 참조 |
설정 | 켜짐/꺼짐 |
다른 필터 끄기 | 켜짐/꺼짐 |
지속 시간 | |
면 | 전경/배경 |
=====# 고급 필터 목록#=====
이름 | 효과 |
AAA 슈퍼 컴퓨터 | |
AAA 슈퍼 핵사곤 | |
AAA 워터 드롭 | |
에일리언 비전 | |
아트모스피어 레인 | |
아트모스피어 레인 프로 | |
아트모스피어 스노우 8비트 | |
눈폭풍 | |
흐리기 블룸 | |
흐리기 가장자리 흐리기 | |
흐리기 블러리 | |
흐리기 디더링 2x2 | |
흐리기 디더 오프셋 | |
흐리기 포커스 | |
흐리기 가우시안 블러 | |
흐리기 무비 | |
흐리기 노이즈 | |
흐리기 방사형 | |
흐리기 빠른 방사형 | |
흐리기 표준 | |
흐리기 스트림 | |
흐리기 틸트 시프트 | |
흐리기 틸트 시프트 홀 | |
흐리기 틸트 시프트 V | |
색상 조정 색상 RGB | |
색상 조정 전체 색상 | |
색상 블리치 바이패스 | |
색상 밝기 | |
색상 어두운 색상 | |
색상 HSV | |
색상 색조 회전 | |
색상 포스터화 | |
색상 RBG 클램프 | |
색상 임계 | |
색상 밝기 대비 채도 | |
색상 색수차 | |
색상 대비 | |
색상 그레이스케일 | |
색상 반전 | |
색상 노이즈 | |
색상 RGB | |
색상 세피아 | |
색상 스위칭 | |
색상 YUV | |
왜곡 아스피레이션 | |
왜곡 빅 페이스 | |
왜곡 블랙 홀 | |
왜곡 디시페이션 | |
왜곡 드림 | |
왜곡 드림 2 | |
왜곡 어안 | |
왜곡 플래그 | |
왜곡 플러시 | |
왜곡 하프 스피어 | |
왜곡 히트 | |
왜곡 렌즈 | |
왜곡 노이즈 | |
왜곡 쇼크 웨이브 | |
왜곡 트위스트 | |
왜곡 사각 트위스트 | |
왜곡 워터 드롭 | |
왜곡 가로 웨이브 | |
드로잉 청사진 | |
드로잉 셀 셰이딩 | |
드로잉 셀 셰이딩 2 | |
드로잉 코믹 | |
드로잉 그물눈 | |
드로잉 커브 | |
드로잉 향상된 코믹 | |
드로잉 망판 | |
드로잉 라플라시안 | |
드로잉 라인 | |
드로잉 만화 | |
드로잉 만화 2 | |
드로잉 만화 3 | |
드로잉 만화 4 | |
드로잉 만화 5 | |
드로잉 만화 컬러 | |
드로잉 만화 강조선 | |
드로잉 만화 하얀 강조선 | |
드로잉 만화 색상 강조선 | |
드로잉 뉴 셀 셰이딩 | |
드로잉 페이퍼 | |
드로잉 페이퍼 2 | |
드로잉 페이퍼 3 | |
드로잉 툰 | |
윤곽선 검은 선 | |
윤곽선 윤곽 필터 | |
윤곽선 골든 | |
윤곽선 네온 | |
윤곽선 시그모이드 | |
윤곽선 소벨 | |
엑스트라 로테이션 | |
아이 비전 1 | |
아이 비전 2 | |
필름 색상 교정 | |
필름 그레인 | |
화면 뒤집기 | |
플라이 비전 | |
FX 8비트 | |
FX 8비트 GB | |
FX 아스키 | |
FX 암흑 물질 | |
FX 디지털 매트릭스 | |
FX 디지털 매트릭스 왜곡 | |
FX 점묘 | |
FX 드렁크 | |
FX 드렁크 2 | |
FX 지진 | |
FX 펑크 | |
FX 글리치 1 | |
FX 글리치 2 | |
FX 글리치 3 | |
FX 그리드 | |
FX 헥사곤 | |
FX 헥사곤 블랙 | |
FX 히프노 | |
FX Inver Chromi Lum | |
FX 거울 | |
FX 플라즈마 | |
FX 사이코 | |
FX 스캔 | |
FX 스크린 | |
FX 스팟 | |
FX 슈퍼 도트 | |
FX 지브라 컬러 | |
글리치 모자이크 | |
글로우 글로우 | |
글로우 글로우 컬러 | |
그레이디언트 Ansi | |
그레이디언트 데저트 | |
그레이디언트 일렉트릭 | |
그레이디언트 파이어 | |
그레이디언트 색조 | |
그레이디언트 네온 | |
그레이디언트 무지개 | |
그레이디언트 스트라이프 | |
그레이디언트 테크 | |
그레이디언트 써멀 | |
라이트 레인보우 | |
라이트 레인보우 2 | |
라이트 워터 | |
라이트 워터 2 | |
야시경 FX | |
야시경 4 | |
노이즈 TV | |
노이즈 TV 2 | |
노이즈 TV 3 | |
오큘러스 야시경 1 | |
오큘러스 야시경 2 | |
오큘러스 야시경 3 | |
오큘러스 야시경 5 | |
오큘러스 써멀 비전 | |
오래된 필름 커팅 1 | |
오래된 필름 커팅 2 | |
모자이크 점묘 | |
모자이크 유화 | |
모자이크 유화 HQ | |
픽셀 모자이크 | |
리얼 VHS | |
레트로 로딩 | |
선명 | |
스페셜 버블 | |
TV 50 | |
TV 80 | |
TV 아케이드 | |
TV 아케이드 2 | |
TV 아케이드 3 | |
TV 빠른 아케이드 | |
TV 아티펙트 | |
TV 깨진 화면 | |
TV 깨진 화면 2 | |
TV 착색 | |
TV 착색 2 | |
TV 압축 FX | |
TV 왜곡 | |
TV 호러 | |
TV LED | |
TV 노이즈 | |
TV 오래됨 | |
TV 오래된 영화 | |
TV 오래된 영화 2 | |
TV 화성 | |
TV 포스터화 | |
TV RBG | |
TV 타일 | |
TV VCR | |
TV VHS | |
TV VHS 역재생 | |
TV 비디오 3D | |
TV 비디오플립 | |
TV 빈티지 | |
TV 와이드 스크린 원형 | |
TV 와이드 스크린 가로 | |
TV 와이드 스크린 HV | |
TV 와이드 스크린 세로 | |
VHS 트래킹 | |
비전 아우라 | |
비전 아우라 왜곡 | |
비전 크리스탈 | |
비전 드로스트 | |
비전 플라즈마 | |
비전 사이코 | |
비전 무지개 | |
비전 터널 | |
비전 워프 | |
비전 워프 2 |
4.4.6. 거울의 방[편집]
거울의 방 | |
명칭 | 거울의 방 (HallOfMirrors) |
각도 오프셋 | O |
가감속 | X |
이벤트 태그 | O |
설정 | 켜짐/꺼짐 |
4.4.7. 화면 흔들기[편집]
4.4.8. 블룸[편집]
4.4.9. 화면 바둑판식 배열[편집]
4.4.10. 화면 스크롤[편집]
4.4.11. 초당 프레임 설정[편집]
4.5. 이벤트 조절[편집]
4.5.1. 이벤트 반복[편집]
반복 유형 | 박자/타일 |
반복 횟수 | |
간격 | '반복 유형'이 '박자'일 때만 활성화된다. |
현재 박자 타일에서 실행 | '반복 유형'이 '타일'일 때만 활성화된다. |
목표 태그 |
4.5.2. 조건부 이벤트 설정[편집]
"정확" 태그 | |
"빠름" 태그 | |
"느림" 태그 | |
"빠름!" 태그 | |
"느림!" 태그 | |
"너무 빠름" 태그 | |
"너무 느림" 태그 | |
게임 오버 태그 | |
재시작 태그 |
4.5.3. 입력 이벤트 설정[편집]
4.6. 편의 기능[편집]
4.6.1. 주석[편집]
4.6.2. 북마크[편집]
4.7. DLC[편집]
4.7.1. 홀드[편집]
4.7.2. 홀드 소리 설정[편집]
홀드 시작 소리 | |
홀드 회전 소리 | |
홀드 끝 소리 | |
홀드 중간 소리 | |
홀드 중간 소리 유형 | |
홀드 중간 소리 딜레이 | |
'''''''' | 첫 타일/마지막 타일 |
홀드 소리 음량 |
4.7.3. 행성 개수 조절[편집]
4.7.4. 자유 이동 구간[편집]
4.7.5. 자유 이동 소용돌이[편집]
4.7.6. 자유 이동 제거[편집]
4.7.7. 판정/타일 아이콘 숨기기[편집]
4.7.8. 판정 타이밍 범위[편집]
4.7.9. 행성 반경 범위[편집]
5. 참고 문서[편집]
[1] 후술할 이벤트인 행성 공전 설정에서는 설정된 위치까지 움직인 뒤 시작 위치로 돌아온다.[2] 다른 가감속과 다르게 Out / In / In-Out이 붙지 않은 그냥 Flash가 존재하며 Linear와 유사하게 움직인다.
(행성 공전 설정에서는 Linear로 설정된 위치까지 움직인 뒤 시작 위치로 돌아오는 것으로 보인다.)[여담] Flash 가감속은 얼불춤 오리지널 가감속이다. 또한 Flash 가감속에는 다른 가감속과 달리 다른 매개변수가 추가로 필요하지만 현재 얼불춤 UI에서는 기입할 수 있는 창이 존재하지 않기에 이런 움직임을 보인다.[4] 예시) 200% → 2배속, 50% → 0.5배속.[5] * 표시가 있는 경우 레벨을 Steam 창작마당에 업로드하기 위해 꼭 입력해야 하는 항목입니다.[6] 레벨 제작자 본인이 작곡가인 경우, 곡이 퍼블릭 라이선스인 경우.[7] 코스모피디아의 레벨 태그와는 다르다.[8] 특성상 논이펙 레벨에서 많이 나오는 길 색상이 될 수 밖에 없다. 이를 통해 일종의 밈이 되기도 했다.[번역오류] 9.1 9.2 여담으로 이 명칭은 번역 오류이다. 먼 곳"으로" 흩뿌리기가 더 정확한 표현이다.[예시2] Pixabay, Pexels, Unsplash 등[예시3] 행성 공전 가감속을 In Sine으로 설정하고 공전 부분별 가감속을 2, 부분별 가감속 행동을 미러로 설정하면 행성이 해당 타일의 절반까지 갔을 때에는 In Sine으로, 나머지 절반은 Out Sine으로 실행된다.[12] <color>로 색상을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13] 정확, 빠름 같은 것이 아니라 엄격, 보통, 느슨 아이콘을 말하는 것이다.[14] 원래 지원하지 않았으나 2.5.0 업데이트에서 추가되었다.[15] 소수점 밑 다섯 자리부터는 지수 표기법을 사용한다. [16] DLC 이벤트인 '행성 개수 조절' 이벤트에서 '행성 3개'를 설정할 시 생성되는 세 번째 행성을 의미한다.[18] 사실상 이것 외엔 사용할 곳이 마땅치 않다.[19] https://adofaiwiki.com/w/%EB%A0%88%EB%B2%A8%20%EC%97%90%EB%94%94%ED%84%B0%2F%EC%9D%B4%EB%B2%A4%ED%8A%B8#s-3.7 참고. [참고] 20.1 20.2 20.3 20.4 여기 참고.
(행성 공전 설정에서는 Linear로 설정된 위치까지 움직인 뒤 시작 위치로 돌아오는 것으로 보인다.)[여담] Flash 가감속은 얼불춤 오리지널 가감속이다. 또한 Flash 가감속에는 다른 가감속과 달리 다른 매개변수가 추가로 필요하지만 현재 얼불춤 UI에서는 기입할 수 있는 창이 존재하지 않기에 이런 움직임을 보인다.[4] 예시) 200% → 2배속, 50% → 0.5배속.[5] * 표시가 있는 경우 레벨을 Steam 창작마당에 업로드하기 위해 꼭 입력해야 하는 항목입니다.[6] 레벨 제작자 본인이 작곡가인 경우, 곡이 퍼블릭 라이선스인 경우.[7] 코스모피디아의 레벨 태그와는 다르다.[8] 특성상 논이펙 레벨에서 많이 나오는 길 색상이 될 수 밖에 없다. 이를 통해 일종의 밈이 되기도 했다.[번역오류] 9.1 9.2 여담으로 이 명칭은 번역 오류이다. 먼 곳"으로" 흩뿌리기가 더 정확한 표현이다.[예시2] Pixabay, Pexels, Unsplash 등[예시3] 행성 공전 가감속을 In Sine으로 설정하고 공전 부분별 가감속을 2, 부분별 가감속 행동을 미러로 설정하면 행성이 해당 타일의 절반까지 갔을 때에는 In Sine으로, 나머지 절반은 Out Sine으로 실행된다.[12] <color>로 색상을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13] 정확, 빠름 같은 것이 아니라 엄격, 보통, 느슨 아이콘을 말하는 것이다.[14] 원래 지원하지 않았으나 2.5.0 업데이트에서 추가되었다.[15] 소수점 밑 다섯 자리부터는 지수 표기법을 사용한다. [16] DLC 이벤트인 '행성 개수 조절' 이벤트에서 '행성 3개'를 설정할 시 생성되는 세 번째 행성을 의미한다.[18] 사실상 이것 외엔 사용할 곳이 마땅치 않다.[19] https://adofaiwiki.com/w/%EB%A0%88%EB%B2%A8%20%EC%97%90%EB%94%94%ED%84%B0%2F%EC%9D%B4%EB%B2%A4%ED%8A%B8#s-3.7 참고. [참고] 20.1 20.2 20.3 20.4 여기 참고.
모든 문서는 CC BY-NC-SA 4.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